MacBook

맥북 iterm 설정하기 - (1) 설치하기

jellylucy 2021. 1. 15. 17:53

맥북을 쓰는 개발자들은 터미널을 사용하지 않고 iterm2를 사용한다고 한다. 

그래서 맥북 5일차인 나도 iterm을 깔아보기로🐒

사실 삽질하다가 다시 까는 중이다.. 🦠

 

1. 설치하기

1. Homebrew 설치

홈브루는 루비 기반으로 만들어진 Mac OS X 용 패키지 관리자이다.

패키지 관리자는 맥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업그레이드, 의존성 관리 등을 도와주는 도구로,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맥 개발자에게는 사실상 필수인 도구.

https://brew.sh/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이 홈페이지가서 한 줄 복사로 설치 완료.

brew -v //으로 brew 버전확인.

 

 

 

 

2. iterm2 설치

기존 터미널보다 다양한 테마를 적용할 수 있어서 쓰이는 듯하다. 

iterm2.com/ 에서 설치 + 어플리케이션화 설정창에서 allow해주었다. 

 

 

 

 

3. ZSH 설치

맥에 기존으로 들어가는 쉘은 bash이다. ( OS 카탈리나부터는 zsh가 깔려진다고 한다)

또다른 쉘인 zsh를 사용하기 위해 설치한다. 이유는 더 다양한 테마가 있어서 손쉽게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다!

 

설치

brew update
brew install zsh

 

zsh 설치 확인

zsh --version

zsh 위치 확인 / bash shell->zsh으로 변경 / 변경된 것 확인

bohyeon@Bohyeons-MacBook-Pro ~ % which zsh
/bin/zsh
bohyeon@Bohyeons-MacBook-Pro ~ % chsh -s /bin/zsh
Changing shell for bohyeon.
Password for bohyeon:
chsh: no changes made
bohyeon@Bohyeons-MacBook-Pro ~ % echo $SHELL
/bin/zsh

 

 

 

 

4. oh-my-zsh 설치

zsh를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로, 플러그인과 테마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 wget curl 설치
brew install curl

# oh-my-zsh 설치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여기서 wget, curl 은 뭘까?

wget은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가져오는 컴퓨터 프로그램. GNU프로그램의 일부.

curl은 command line 용 data transfer tool , 컴퓨터프로그램이다.

# example.com의 "index.html" 제목 페이지를 
# 파일로 내려받기 
wget http://www.example.com/

# GNU FTP 사이트로부터 Wget의 소스 코드 내려받기. 
wget ftp://ftp.gnu.org/pub/gnu/wget/wget-latest.tar.gz

기본적인 cURL 이용 시에는 curl을 명령 줄에 입력한 다음 출력을 받아올 URL을 뒤이어 추가하는 일이 동반된다.

example.com 홈페이지를 받아오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url www.example.com

 

 

 

 

5. 최종 iterm2 화면

 

 

 

인용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cker&logNo=220820740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