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hub 7

다른 브랜치로 이동할 때의 명령어 (checkout, stash)

checkout 명령어 정리 1. -b 옵션 git checkout -b 브랜치 작성과 체크아웃을 한꺼번에 실행할 수 있다 *force checkout 커밋하지 않은 수정코드들 버리고 체크아웃한다. 2. 스테이시(stash) 어떤 브랜치에서 파일을 수정하거나 추가한 후 커밋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브랜치로 체크아웃할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또는 force, smart checkout 선택창이 뜬다. 커밋을 하고 체크아웃을 하면 되지만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커밋하지 않은 코드를 stash에 저장해둘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이던 내용들을 언제든지 git stash로 저장해두고 다른 브랜치 이동 후 다시 돌아와 복구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현재 상황 파악하기 git status 현재 ..

Git, Github 2022.11.14

Branch 이용해 pull 충돌 해결하기

1. 브랜치 생성 (1) 로컬 브랜치 생성 : bohyeon (2) 원격 브랜치 생성 : origin/bohyeon 생성한 로컬 브랜치와 원격브랜치와 연결한다. 2. 상황예시 origin/main의 코드를 두사람이 같이 작업하다가, 한사람이 작업을 끝내 origin/main pull를 했다. 나머지 한사람이 작업을 마칠 때 pull을 하면, 작업했던 코드와 main의 코드가 달라졌으므로 코드 충돌이 발생한다. 1. 코드 수정 후 원격브랜치로 pull main원격브랜치가 아닌 자신의 원격브랜치로 pull하면, 충돌 일어나지 않는다 2. origin/bohyeon에서 origin/main으로 pull request 깃헙에서 처리한다. 3. merge resolve confilts 코드 충돌로 merge전에 ..

Git, Github 2022.01.26

Git. Github 간단히 정리하기

Git, Github 의 차이점이 무엇일까? Git : 하나의 작업물에 대해서 버전들을 기록하는 것. = 분산 소스 버전 관리 시스템, = 서버를 분산시켜 구축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 소스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형상관리도구 Github : Git 내용들을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도구. = 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 서비스 = Git을 업로드 할 수 있는 웹사이트 = 개발자들의 버전 제어 및 공동 작업을 위한 플랫폼 (github 외의 다양한 플랫폼들이 존재한다) 버전관리는 왜 필요한가? 개발자간의 협업이 필요하다. 전체 개발 소스를 공유하면서 개발 파트를 나눌 수 있고 같은 모듈을 개발하더라도, 소스를 공유하며 개발할 수 있다. Git 설치 및 확인 git ..

Git, Github 2021.12.31

Git action 사용하기

Git action 이란? : github 의 컴퓨터라고 보면 된다. 나의 상황은 내가 만든 코드를 내 컴퓨터 안에서 내가 항상 컴퓨터를 키고 있으면서 실행하기엔 너무 비효율적이니, 내가 아닌 다른 컴퓨터로 코드 실행을 원하는 주기대로 실행시키고 싶다. 그래서 git 컴퓨터 git action를 사용하는 것. 내가 실행하고 싶은 코드에는 공개하면 안될 slack 토큰, azure 스토리지 계정 키 값 환경변수가 있다. github privacy는 비용이 들어 git action 으로 돌리면 공개적으로 코드가 다 나오니까 안되지 않을까 했으나 git action 에 secert 기능으로 보안처리를 할 수 있다. 1. Secret으로 git action 세팅하기 settings에 들어가 secret 에다가 ..

Git, Github 2021.05.19

git fork 상태에서 업데이트된 소스 가져오기 (git bash)

1. 로컬 저장소에 들어간다 2. git remote add upstream 업데이트된github소스 3. git fetch upstream fetch : 현 로컬저장소에 연결된 원격저장소의 최신버전을 가져온다 현 로컬저장소에 remote로 업데이트github를 연결한 상태이므로 업데이트 된 소스코드가 반영된다 4. git merge upstream/master merge : 합치는 것 fetch 한 상태에서 merge하게 되면 원래의 fork한 소스 origin에 fetch한 소스가 merge된다 5. 필요없는 upstream 삭제

Git, Github 2021.03.06

git repository 생성, 소스 올리기, pull request 까지(Git Bash)

1. 나만의 로컬 저장소를 만든다 - github의 저장소를 복제할 장소를 만든다 : 그냥 바탕화면에 폴더 생성함 2. git bash로 들어가서 cd 생성한로컬저장소 git status git add . 3. git init : git 설정해준다 . 4. git remote github저장소링크 : remote 원격. 연결해준다 -git remote -v : remote 된 것 확인 -git remote remove : 삭제 명령어 -git remote add origin github저장소 :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remote add하기 5. git clone : 소스 복제 6. 복제된 환경에서 vs_code로 소스 변경 및 수정 7. commit : 소스를 원하는 만큼 수정했다! git comm..

Git, Github 2021.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