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r
IP Addr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두 개의 기기가 인터넷으로 통신하려면 서로의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 통신사에 인터넷을 신청하면 인터넷 회선과 하나의 IP 주소를 부여받는다.
- 하나의 IP 주소로 집에 있는 다양한 기기들이 모두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공유기를 사용한다.
- 공유기는 인터넷 회선과 공유기에 연결된 여러 기기들을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
- 공유기는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들에게 IP 주소를 부여한다,
- 이 IP 주소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주소로 Private IP Address
- 예를 들면, 회사의 내선번호같은 것이다. 회사의 내선번호는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공유기의 IP 주소는 인터넷회선으로부터 부여받은 공용 IP 주소 Public IP Address
- 공유기는 내부 네트워크 IP 주소도 갖고 있다. Gateway Address 또는 Router Address (보통 192.168.0.1)
- 사설 IP 주소는 특정 범위의 주소로만 사용하기로 전세계적으로 약속되어있음
- 용어 정리
- WAN : LAN을 연결해주는 라우터(공유기)
- LAN : Local Area Network 지역네트워크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들은 각각의 사설 아이피를 부여받는다.
사설 IP 를 부여해주는 역할을 NAT가 해준다.
우리가 위키 사이트에 접속하고 싶으면 컴퓨터는 Gateway Address에 해당하는 IP 머신에게(private Ip address) 신호를 보낸다.
공유기는 이 요청을 Public Ip Address으로 위키 사이트에게 요청을 한다.
위키는 요청을 다시 Public Ip Address주고 공유기는 Private IP Address에게 가서 컴퓨터한테 정보를 제공한다.
즉, private IP를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가 사설 바깥쪽에 있는 Public IP에 해당되는 외부세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NAT 덕분에!
Dynamic & Static IP Address
용어 정리
- ISP (Internet server provider)
Dynamic
ISP 와 계약을 맺고 집에서 케이블을 꽂으면 IP 주소를 부여받게 된다.
하지만 집집마다 IP 주소를 주게되면 IP 주소가 턱없이 부족해지게 된다.
그래서 사용되는 방법이 Dynamic Ip Address.
IP를 부여받은 집에서 오랫동안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으면 -> 다른 집에게 IP주소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니까 해당 집에 Ip 주소가 자주 바뀔 수 있다.
Static
통신사에게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IP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PORT
port를 사용하여 한 개의 컴퓨터에서 여러 서버운영이 가능하다.
웹 검색시 포트 번호는 생략된다.
포트 번호의 3가지 종류
- 0 ~ 1023번 : well-known port
- 22 : SSH
- 80 : HTTP
- 1024 ~ 49151번 : registered port
- 그 아래는 동적포트
내 컴퓨터를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공유기에 할당된 공용 IP에 접속을 해봤자, 공유기 입장에서는 192.168.0.2를 원하는지, 192.168.0.3을 원하는지, 192.168.0.4를 원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 살펴볼 것은 외부의 접속이 들어왔을 때 누가 서버로 응답을 할지 공유기가 연결해줄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각자 자신의 번호를 갖고 해당 port에 정박해있다.
우리의 컴퓨터에도 이런 규칙에 대한 개념이 있다.
하나의 컴퓨터에 서버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다.
특정 컴퓨터에 접속했을 때 서버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어떻게 식별할 수 있을까
우리가 접속할 때 많은 서버 중 누구랑 상호작용을 할 것인지 컴퓨터에 알려주어야 한다.
이를 Port Forwarding
Port Forwarding
공유기의 공용 IP가 있고, 서버를 192.168.0.4에서 열고 있다면, 사람들을 서버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192.168.0.4를 알려주면 안 될 것이다. 공용 IP로 접속을 해봤자, 공유기 입장에서는 이미 연결된 기기 중 누구를 원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해야 할 작업은 사용자들이 공용 IP주소로 접속했을 때 192.168.0.4로 접속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포트를 이용한다.
우리가 공유기에 이렇게 설정을 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공용 IP>:8081 -> 192.168.0.4:80
누군가가 공용 IP의 8081 포트로 들어오면, 192.168.0.4의 80 포트로 들어오는 것이다. 이런 역할을 하기 위해서 공유기의 설정을 바꿔줘야 한다.
공유기 설정의 포트 포워딩 방법.
규칙 이름을 정하고 내부 IP주소를 적고 외부 포트가 8081, 내부 포트가 80이면 위의 규칙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공용 IP에서 80 포트를 적는다면 브라우저에서 공용 IP를 입력했을 때 192.168.0.4:80으로 보낼 수 있을 것이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컴퓨터를 공유기에 연결한다면 해당 컴퓨터의 IP 주소를 자동적으로 정해주는 것이다.
용어 정리
- Mac Address : 모든 기기에 통신장치에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물리적 주소. physical address
'Backend > 생활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입문 수업 (0) | 2022.12.15 |
---|---|
[생활코딩] 머신러닝1 정리 (0) | 2021.09.24 |
[생활코딩] OAuth (0) | 2021.08.14 |
[생활코딩 Nodejs] 30강 HTML - post (0) | 2021.02.18 |
[생활코딩 Nodejs] 29-32강 패키지 매니저 PM2, HTML form + 글생성 및 데이터 받기 (0) | 2021.02.15 |